본문 바로가기
신약/빌립보서

빌립보서 4장: 1-5

by 갈렙과 함께 2025. 10. 10.

빌립보서 4장: 1-5

1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

2 내가 유오디아를 권하고 순두게를 권하노니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

3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을 돕고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자들을 도우라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4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5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 주께서 가까우시니라

 

Philippians 4: 1-5

1 Therefore, my brothers, you whom I love and long for, my joy and crown, that is how you should stand firm in the Lord, dear friends!

2 I plead with Euodia and I plead with Syntyche to agree with each other in the Lord.

3 Yes, and I ask you, loyal yokefellow, help these women who have contended at my side in the cause of the gospel, along with Clement and the rest of my fellow workers, whose names are in the book of life.

4 Rejoice in the Lord always. I will say it again: Rejoice!

5 Let your gentleness be evident to all. The Lord is near.

 

---------------------------------------------------------

빌립보서 4장/ Philippians 4: 1-5

1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이와 같이 주 안에 서라

1 Therefore, my brothers, you whom I love and long for, my joy and crown, that is how you should stand firm in the Lord, dear friends!

 

‘면류관’의 헬라어 [스테파노스]는 당시 운동 경기의 승리자에게 주었던 월계관이나 연회에서 얻은 화관을 의미합니다. 빌립보 교인들이 영적으로 성장하며 그리스도인의 삶을 사는 것은 바울에게 기쁨이요 자랑이었습니다. 이는 하나님 앞에서 그의 수고가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줄 증거이며 그에게 주어질 상의 근거였습니다.

‘서라’의 헬라어 [스테케테]는 [스테코]의 능동태 명령법으로 [스테코]는‘진실되게 서다, 굳게 서다’ 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병사가 전쟁 중에 적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초소에 굳게 계속 서 있는 모습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빌립보 성도들이 어려운 상황 가운데 있더라도 흔들리지 말고 견고하게 서 있으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주 안에서’ [엔 퀴리오] 만 이것이 가능하니, 성도들이 주와 동행한다면 어려운 시험을 당하더라도 굳게 서 있게 될 것입니다.

 

2 내가 유오디아를 권하고 순두게를 권하노니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

2 I plead with Euodia and I plead with Syntyche to agree with each other in the Lord.

 

‘유오디아’ [유오디안]는 ‘순조로운 여행이라는 의미이고, ‘순두게’ [쉰튀켄]는 ‘행운의 기회’라는 의미입니다. 두 사람은 여인들로서 서로 분쟁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빌립보 교회는 바울의 전도를 받은 자주 물감 장사 루디아에 의해 세워진 교회였기에 (행 16:13-15), 여성들의 역할이 컸던 교회입니다. 두 여인의 다툼은 빌립보 교회에 악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주 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는 것은 일반적인 권고이나, 본절에서는 구체적으로 깊이 관여하여 권면하고 있습니다. 두 여인 각자에게 권하고, 권하노니 반복하여 말한 것은 두 사람의 불화가 매우 심각했기에 개별적으로 훈계하고 있습니다. 

‘같은 마음’ 은 주 안에서 사랑으로 하나된 마음을 말합니다. 바울은 그들이 주님께로 부터 떠나가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그들의 화해와 일치의 기본 원리는 주님과의 영적 연합에 있습니다. 그들은 주님의 뜻을 따라 화해하고 모범을 보임으로 교회에 유익을 끼쳐야 했습니다.

 

3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을 돕고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자들을 도우라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3 Yes, and I ask you, loyal yokefellow, help these women who have contended at my side in the cause of the gospel, along with Clement and the rest of my fellow workers, whose names are in the book of life.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에 해당하는 동역자가 누구인지는 불확실합니다. 디모데, 에바브로디도, 누가, 빌립보 교회의 감독, 루디아,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남편, 실라, 등등. 그가  바울과 복음 사역에 동참한 자이고, 빌립보 성도를 도우라는 바울의 부탁을 받고 있습니다.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 은 유오디아와 순두게를 말한 것입니다.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는 예수께서 복음을 전파한 제자들에게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으로 기뻐하라’ (눅 10:20)에서 하신 말씀입니다. 세상은 주를 위해 수고한 이들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그들은 이미 영원한 생명을 얻은 자들이고, 그 이름이 생명책에 기록되었으니 귿르의 수고는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계 3:5).

 

4 주 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4 Rejoice in the Lord always. I will say it again: Rejoice!

 

‘기뻐하라’의 헬라어 [카이레테]는 현재 능동태 명령형으로 어떤  상황 가운데서도 기뻐하라고 강조하는 단어입니다. 바울은 이 서신을 쓸 당시, 로마 감옥에 투옥된 어려운 형편 이었습니다.

그는 그 가운데서도 먼저 기뻐하는 생활을 했습니다 (2:17). 빌립보 성도들도 바울이 투옥 생활 고난 가운데도 믿음으로 굳게 서서 기뻐한 것을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주 안에서’ [엔퀴리오]는 바울의 기쁨의 원천이 예수 그리스도 이심을 말해줍니다. 오직 그리스도 만이 성도들의 모든 상황을 기쁨으로 충만케 하실 분이십니다. 

 

5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 하라 주께서 가까우시니라

5 Let your gentleness be evident to all. The Lord is near.

 

‘관용’으로 번역된 헬라어  [토 에피에이케스]는 손해나 역경을 당해도 쉽게 동요되거나 넘어지지 않고 평정을 유지하는 ‘영적인 인내’를 가리킵니다. 이는 자신의 당연한 권리를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향해 너그럽게 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바울은 이런 태도를 모든 사람들, 심지어 자신을 핍박하는 사람에게 까지도 보여야 된다고 말합니다. 

 

‘주께서 가까우시니라’ 는 성도들이 관용의 태도로 살아야하는 이유를 말한 것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호퀴이노스 엥귀스]는 주의 재림의 소원을 나타내는 [마라나 타] : ‘주여 오시옵소서’ (계 22:20) 의 변형구절 입니다. 선악간의 모든든 행위를 심판하실 주의 재림이 가까와 오는 것을 믿는다면, 모든 핍박을 인내하고 다른 사람에게 관대한 태도를 보이라고 권면하고 있습니다. (약 5:7-9).



'신약 > 빌립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립보서 3장: 17-21  (0) 2025.10.09
빌립보서 3장/ Philippians 3: 11-16  (0) 2025.10.08
빌립보서 3장: 7-10  (0) 2025.10.07
빌립보서 3장: 1-6  (0) 2025.10.06
빌립보서 2장: 19-30  (0) 2025.10.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