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빌립보서

빌립보서 1장/ Philippians 1: 1-5

by 갈렙과 함께 2025. 9. 25.

빌립보서 1장: 1-5

1 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한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하노니

2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3 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

4 간구할 때마다 너희 무리를 위하여 기쁨으로 항상 간구함은

5 너희가 첫날부터 이제까지 복음을 위한 일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라

 

Philippians 1: 1-5

1 Paul and Timothy, servants of Christ Jesus, To all the saints in Christ Jesus at Philippi, together with the overseers and deacons:

2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3 I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4 In all my prayers for all of you, I always pray with joy

5 because of your partnership in the gospel from the first day until now,

 

------------------------------------------------

빌립보서 1장/ Philippians 1: 1-5

1 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한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하노니

1 Paul and Timothy, servants of Christ Jesus, To all the saints in Christ Jesus at Philippi, together with the overseers and deacons:

 

바울이 다른 서신과 달리 자신을 ‘사도’ 라고 칭하지 않고 ‘종’이라고 표현한 것은 두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1) 바울은 빌립보에서는 자신의 사도직에 대해서 도전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굳이 자신의 사도직을 옹호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2) 빌립보 신자와의 사랑의 결속려이 강하여 굳이 사도라 호칭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종’ 에 해당한 [둘로이]는 ‘노예’라는 말입니다. 바울은 이 용어를 사용하여 죄의 공포에서 해방된 (롬 6:18, 22) 기쁨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께 헌신하고 순종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성도’ 헬라어 [하기오이스]는 히브리어 [카다쉬, 분리하다]와 같은 의미입니다. [카다쉬]는 구약의 제사에서 정결 의식을 통해 죄로부터 분리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죄로 부터의 분리는 하나님에 대한 헌신을 의미합니다. 

‘분리된 자’에 해당하는 [하기오스]는 신약에서 거룩한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구별한 백성, 즉 교회를 가리킵니다.

 

‘감독’은 ‘장로’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딤전 5:1, 벧전 5:1,2). 여기서 ‘감독’은 하나님의 백성을 주관하도록 선택된 목사와 장로와 기타 사역자들을 포함합니다. 이들의 책임은 하나님 교회 교인들을 양육하고 인도하는 것입니다.

 

‘집사’에 해당하는 [디아코노이스]는 공동체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이었으나 여기서는 성도들을 위하여 서로 돕는 일과 다스리는 일을 한 사람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바울이 감독들과 집사들을 특별히 언급한 것은 빌립보 교외의 감독이었던 에바브로디도가 편지를 가지고 빌립보에 갈때 그의 권위를 세워주기 위함이었고, 빌립보 교회의 감독들과 집사들이 헌금을 모아서 바울에게 전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2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2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은혜’는 인간의 행위에 관계 없이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값없는 선물입니다. 

‘평강’은 그 ‘은혜’의 결과로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화목을 누리고 사람들 사이에 화해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은혜와 평강’의 근원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이는 당시 헬라의 인사와는 다른, 크리스도인의 인사입니다.

 

3 내가 너희를 생각할 때마다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며

3 I thank my God every time I remember you.

 

바울은 거의 대부분의 서신을 감사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이런 감사의 기도로 표현됩니다.

 

4 간구할 때마다 너희 무리를 위하여 기쁨으로 항상 간구함은

4 In all my prayers for all of you, I always pray with joy

 

‘간구’ [데에세이]는 문자적 의미가 ‘결핍, 필요’이지만, 여기서는 ‘기도’를 말합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에게 사랑과 필요함을 알고 하나님께 간구함으로써 사도 바울과 빌립보 교인들 사이의 상호 이해와 애정을 표현합니다. 바울의 간구는 ‘기쁨’으로 충만해 있습니다. 비록 바울이 옥중에서 고난 가운데 있지만, 변함없는 기쁨으로 빌립보 교인을 위해 간구한 것입니다.

 

5 너희가 첫날부터 이제까지 복음을 위한 일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라

5 because of your partnership in the gospel from the first day until now,

 

3절과 연관된 감사의 이유입니다. 빌립보 교인들이 행했던 기도와 헌금이 복음 전파에 기여했습니다. 빌립보 교인들은 사도 바울의 고난에 동참하며 교제했습니다. 그  교제는 바울이 빌립보 지역에 선교한 ‘첫날부터’ 시작  되었습니다. 바울에게 루디아는 그의 집을 개방했고 (행 16:14,-15), 간수는 바울을 친절히 대접했고, 2차 전도여행 시 빌립보 교인들은 에바브로디도를 통해 헌금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신약 > 빌립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립보서 1장/ Philippians 1: 6-11  (0) 2025.09.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