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데살로니가후서

데살로니가 후서 1장: 10-12

by 갈렙과 함께 2025. 11. 27.

데살로니가 후서  1장: 10-12

10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이는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11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12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2 Thessalonians 1: 10-12

10 on the day he comes to be glorified in his holy people and to be marveled at among all those who have believed. This includes you, because you believed our testimony to you.

11 With this in mind, we constantly pray for you, that our God may count you worthy of his calling, and that by his power he may fulfill every good purpose of yours and every act prompted by your faith.

12 We pray this so that the name of our Lord Jesus may be glorified in you, and you in him, according to the grace of our God and the Lord Jesus Christ.

 

--------------------------------------------------------------------------

데살로니가 후서  1장 / 2 Thessalonians 1: 10-12

10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이는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10 on the day he comes to be glorified in his holy people and to be marveled at among all those who have believed. This includes you, because you believed our testimony to you.

 

‘그 날에’ [엔테 헤메라 에케이네]는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마지막 날’을 가리킵니다 (사 2:11. 17).

성경에는 ‘그 날’의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그 날’은 오직 하나님께 속한 권한으로 (마 24:36) 언급됩니다. 예수 께서는 ‘그 날’에 대한 징조들은 말씀하심으로 성도들이 지녀야 할 태도에 대해 언급하셨습니다. (마 24: 3-51, 눅 21:10-36). ‘그 날’은 악행하던 자들에게는 영원한 멸망의 날이 되겠지만 성도들에게는 그리스도를 맞이할 기쁨과 영광의 날이 될 것입니다 (7절, 2:1, 살전 4:17).

‘강림하사’ : 그리스도의 강림은 종말론적 의미가 있으므로 바울은 강림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에 대해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오 친히 하늘로 부터 강림하시리니’ (살전 4:16)라는 묵시 문학적 용어로 묘사했습니다.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에서 ‘성도들에게서’와 ‘모든 믿는 자에게서’라는 구절 앞에 헬라어 성경에는 [엔, …안에서]라는 전치사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이를 직역하면, 성도들이 영광을 반사(反射)하는 자가 될 것임이 강조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이 택한 백성의 삶 속에 거하시면서 그들을 통하여 영광을 받으실 뿐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영광을 함께 누리게 하십니다 (시 89:7). 더욱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그 날의 영광이 너무도 찬란하기에 놀랍게 여길게 될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성도들에게 행하신 일로 인해 그 날 성도들은 그를 마땅히 찬양할 것입니다.

바울은 이처럼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마지막 날에 그리스도와 함께 받을 그 영광을 소망하라고 말합니다. 그들이 당하는 핍박과 박해 속에서도 낙심치 말고 믿음 위에 굳건히 설수 있도록 확신과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

 

11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11 With this in mind, we constantly pray for you, that our God may count you worthy of his calling, and that by his power he may fulfill every good purpose of yours and every act prompted by your faith.

 

‘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그리스도인들은 구원을 얻기 위한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이미 구원을 받았기 때문에 그 결과에 합당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부르심’에 해당하는 헬라어 [클레세오스]는 일반적으로 신약에서 복음의 특권을 얻도록 부르심을 받았다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롬 11:29, 엡 1:18), 본절에서는 부르심을 받은 자에게 부여되는 특권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모든 선을 기뻐함’ 에 해당하는헬라어를 직역하면 ‘선의 욕구’라는 의미입니다. 성도들이 맺어야 할 성령의 열매 중 한 부분이며 (갈 5:22-23), 올바르고 다른 이들에게 유익이 되는 것을 끊임 없이 추구하는 활동적인 성품을 뜻합니다. 본 구절은 하나님께서 데살로니가 교인들 속에 있는 선한 의지를 일깨우셔서 선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시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레온 모리스).

 

‘믿음의 역사’ 는 데살로니가 전 1:3에도 나오는 표현입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가졌던 처음의 믿음이 풍성한 열매를 맺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 믿음은 결코 정지하거나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행위를 동반합니다 (약 2:20-26). 본절에서 ‘믿음의 역사’란 믿음을 통해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맺은 열매 자체를 가리키는 것을 말합니다.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바울은 앞서 언급한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가 어떻게 성취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진술하고 있습니다. 모든 선한 성품과 믿음의 역사를 이루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능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굳게 믿고 그것을 위해서 하나님께 간구하고 있습니다. 모든 선한 마음과 믿음의 일은 인간의 힘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기에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이것들을 이루기위해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어야 됩니다.

 

12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12 We pray this so that the name of our Lord Jesus may be glorified in you, and you in him, according to the grace of our God and the Lord Jesus Christ.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에서 ‘이름’에 해당하는 하는 헬라어 [오노마]는 그리스도를 지칭하고, 계시된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과 위엄과 주권과 능력을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초대 교회의 사도들은 오직 예수의 이름으로 능력을 행하여 복음을 전파했습니다. 

‘너희 가운데서’라는 표현은 그리스도와 성도간의 밀접한 통일성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요 15:1-11).

성도들은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요 15:5).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성도들의 삶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성도들은 주 안에서 그와 함께 영광을 누리게 됩니다. 이는 주께서 그들 속에 계시고 그들이 주 안에 거하시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롬 6:11, 23, 고전 1:5). 바울은 이런 모든 일들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이루어졌다고 말합니다.



'신약 > 데살로니가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살로니가 후서 1장 : 6-9  (0) 2025.11.26
데살로니가 후서 1장: 4-5  (0) 2025.11.25
데살로니가 후서 1장: 1-3  (0) 2025.11.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