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전서 4장: 1-5

by 갈렙과 함께 2025. 11. 14.

데살로니가전서  4장: 1-5

1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끝으로 주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구하고 권면하노니 너희가 마땅히 어떻게 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배웠으니 곧 너희가 행하는 바라 더욱 많이 힘쓰라

2 우리가 주 예수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무슨 명령으로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

5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따르지 말고

 

1 Thessalonians 4: 1-5

1 Finally, brothers, we instructed you how to live in order to please God, as in fact you are living. Now we ask you and urge you in the Lord Jesus to do this more and more.

2 For you know what instructions we gave you by the authority of the Lord Jesus.

3 It is God's will that you should be sanctified: that you should avoid sexual immorality;

4 that each of you should learn to control his own body in a way that is holy and honorable,

5 not in passionate lust like the heathen, who do not know God;

 

---------------------------------------------------------------

데살로니가전서  4장 /1 Thessalonians 4: 1-5

1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끝으로 주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구하고 권면하노니 너희가 마땅히 어떻게 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배웠으니 곧 너희가 행하는 바라 더욱 많이 힘쓰라

1 Finally, brothers, we instructed you how to live in order to please God, as in fact you are living. Now we ask you and urge you in the Lord Jesus to do this more and more.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복음 전파시 가르친 내용은 세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1) 복음의 요약. 설교나 신앙고백의 형태로 가르쳤습니다. (2) 예수 그리스도께서서 행하심과 말씀. (3)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윤리적인 삶.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그 분의 삶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2 우리가 주 예수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무슨 명령으로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2 For you know what instructions we gave you by the authority of the Lord Jesus.

 

‘명령’ [파랑게리아스]는 군사용어로 매우 권위적인 말입니다. ‘주 예수로 말미암아’의 헬라어는 ‘주 예수를 통하여’라는 의미입니다. 사도들은 그리스도의 권위를 가지고 복음을 전했고  그들이 전한 말은 곧 그리스도의 ‘명령’이었습니다 (고전 14:37).

 

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3 It is God's will that you should be sanctified: that you should avoid sexual immorality;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은 그 분의 뜻대로 준행하는 것입니다 (1절). 하나님의 뜻은 그 분이 거룩하신 것 같이이 (레 19:2) 그의 백성들이 거룩해지는 것입니다 (레 11:44-45, 벧전 1:15-16)

3장 13절의 ‘성도’ [하기오쉬네]는 ‘거룩한 존재를 의미하고, 본절의 ‘거룩함’ [하기아스모스]는 ‘거룩하게 되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음란을 버리고’ 는 성도의 거룩을 위해 중요한 부분입니다.  음란에 대해서는, 바울이 본서를 쓰기 1,2년전 열린 예루살렘 회의 (A.D. 49) 에서 규정된 바를 이방교회에 이미 알렸습니다 (행 15:20). 성적 순결이 성화의 모든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부분이고, 특히 음행이 성행하던 당시 상황에서는 더욱 중요했습니다. ‘음란’ [포르네이아]는 매춘부 [포르나이]와의 성적 관계를 나타낼때 사용되었으나, 여기서는 긔 외의 부정한 모든 성관계를 포괄적으로 함축하여 사용되었습니다 (마 19:9, 행 15:20, 고전 5:1).

기독교와  유대교에서는 ‘결혼’이라는 범주 안에서만 성관계를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이교 사회는 결혼한 사람이외의 사람과의 성관계도 허용되었습니다. 그들의 종교적 제의식에는 음행이 수반되어 있었습니다. 데살로니가에서도 음행이 제의식의 하나로  허가된 행위였습니다. 바울은 이교도 지역에 복음이 들어갈 때 이런 음행과 악습을 단호히 배격시켰습니다 (고전 6:12-20).

 

4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

4 that each of you should learn to control his own body in a way that is holy and honorable,

 

‘거룩함’은 하나님께 대한 것이고 ‘존귀함’은 아내에 대한 것입니다. ‘거룩함과 ‘존귀함’은 성적 무절제에서 벗어나야 가능합니다 (롬 1:24). 

‘지가 아내 대할 줄 알고’ 의 헬라어는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아내’의 헬라어 [스큐오스]의 본 의미는 ‘그릇’입니다. 고린도 후서 4:7절에서는 “우리가 이 보배를 질그릇에 가졌으니 이는 능력의 심히 큰것이 하나님께 있고 우리에게 있지 아니함을 알게 하려함이라”를 근거로 ‘그릇’을 몸이라고 번역합니다. (2) 벧전 3:7에서는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이 ‘그릇’이 의미하는 것은 아내 입니다. 

성경은 아내를 보호해야 할 연약한 자이니, 존귀하게 여기라고 가르칩니다. 동시에 우리들 모두는 질그릇 같은 존재이고 우리의 능력은 하나님으로 부터 온다는 것을 알고 거룩함으로 살아가야 됩니다.

 

5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따르지 말고

5 not in passionate lust like the heathen, who do not know God;

 

이방인들은 하나님에 대해 무지했기에 자신들의 정욕대로 살아갔습니다. 성도들은 이미 하나님에 대해 아는 자들이니, 욕망에 따르지 말고 거룩하게 살도록 가르칩니다.



'신약 > 데살로니가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살로니가전서 4장: 6-8  (0) 2025.11.15
데살로니가전서 3장: 9-13  (0) 2025.11.13
데살로니가전서 3장: 1-8  (0) 2025.11.12
데살로니가전서 2장: 16-20  (0) 2025.11.11
데살로니가전서 2장 : 10-15  (0) 2025.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