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살로니가전서 2장: 1-4
1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간 것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2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전하였노라
3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을 위탁 받았으니 우리가 이와 같이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1 Thessalonians 2: 1-4
1 You know, brothers, that our visit to you was not a failure.
2 We had previously suffered and been insulted in Philippi, as you know, but with the help of our God we dared to tell you his gospel in spite of strong opposition.
3 For the appeal we make does not spring from error or impure motives, nor are we trying to trick you.
4 On the contrary, we speak as men approved by God to be entrusted with the gospel. We are not trying to please men but God, who tests our hearts.
------------------------------------------------------------------
데살로니가전서 2장 /1 Thessalonians 2: 1-4
1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간 것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1 You know, brothers, that our visit to you was not a failure.
본장에는 바울의 적대자들(거짓 사도들, 유대주의자들, 영적 열광주의자들 등)에 대한 그의 변호가 함축되어 있습니다.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는 데살로니가에서 바울 일행이 행한 사역의 결과를 말합니다. 그들의 복음 사역으로 데살로니가 지역에 많은 개종자들이 나오게 된 것을 가리킵니다.
2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전하였노라
2 We had previously suffered and been insulted in Philippi, as you know, but with the help of our God we dared to tell you his gospel in spite of strong opposition.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한 것’은 귀신들려 점치는 여종을 고쳐줌으로 인해 그녀를 통한 수익을 얻지 못한 주인이 고소한 일입니다. 바울은 기이한 풍속을 전한다는 이유로 고소 당해서 모진 매를 맞고, 정확한 판결없이 옥에 갇혔습니다 (행 16:19-34). 빌립보도 데살로니가와 같은 마게도냐에 있는 성이고, 바울이 빌립보에서 데살로니가로 곧바로 갔으므로 바울에 대한 고난 소식은 그들도 알고 있었습니다.
바울은 언제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복음을 증거했습니다. 바울의 용기와 확신은 하나님께서 주신 영적 힘입니다.
‘하나님의 복음’ [유앙겔리온 투 데우] 는 복음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강조합니다. 복음은 인간의 구원을 위해 하나님께서 친히 시작하셨고 사람들이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 참여하도록 하나님께서 친히 주관 하십니다. 바울은 자신의 지식이나 사상을 전하지 않았고 하나님께로 부터 온 생명을 살리는 복음을 증거했기에 고난중에도 담대하게 복음을 전했습니다.
3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3 For the appeal we make does not spring from error or impure motives, nor are we trying to trick you.
‘권면’ 의 헬라어 [파라클레시스]는 [파라: 곁으로]와 [칼레오: 부르다]의 합성어로 ‘돕기 위하여 불러세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권면’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복음 전도’를 말합니다. ‘권면’은 ‘격려’의 의미도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전도 내용이 바르다고 변증합니다.
‘간사함’ [플라네스]는 ‘속임(deceit’보다는 ‘오류’ (error)의미입니다. 바울이 전하는 복음에 오류가 없는 참 진리임을 나타냅니다.
‘부정’ [아카다르시아스]는 당시 이교 사상에 만연한 ‘성적 부정’을 말하는 것으로 바울도 성적 부도덕하다고 비난을 받았을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바울은 자신은 결코 부도덕한 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명백히 밝힙니다.
‘속임수’ [돌로]는 당시 소피스트나 마술사들이 자신의 지식과 마술적 속임수로 부정한 이익을 채우던 행위를 말합니다. 바울은 그들 처럼 이득을 취하지 않았고 거짓이나 부정에 근거하지 않고 오직 살아계신 하나님의 복음 만을 전했다고 강조합니다.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을 위탁 받았으니 우리가 이와 같이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4 On the contrary, we speak as men approved by God to be entrusted with the gospel. We are not trying to please men but God, who tests our hearts.
‘옳게 여기심’ [데도키마스메다]은 금과 은의 제련에 사용되는 말로서 시험을 통해 그 진가를 알아내는 것을 가리킵니다 (벧전 1:7) 바울은 자신이 하나님으로부터 시험을 받은 후에 합격하여 사도직을 수행하도록 위임되었다고 강조합니다. (행 9:1-31).
하나님으로 부터 선택되고 위임 받은 복음 전도자들이 휘해야되는 태도는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하는 것입니다.
기쁘시게’ [아레스콘테스]는 ‘남의 유익을 위해 봉사하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자기 명예나 인기에 영합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을 기쁘게 하기위해 복음을 전했다고 강조합니다.
‘감찰하시는’ [도키마존티]는 ‘시험하다, 시험을 통해 인정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우리의 지성과 의지를 포함한 전인적인 감찰을 의미합니다.
'신약 > 데살로니가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살로니가전서 1장: 8-10 (0) | 2025.11.06 |
|---|---|
| 데살로니가전서 1장: 4-7 (0) | 2025.11.05 |
| 데살로니가전서 1장: 1-3 (0) | 2025.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