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로새서 4장: 12-18
12 그리스도 예수의 종인 너희에게서 온 에바브라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그가 항상 너희를 위하여 애써 기도하여 너희로 하나님의 모든 뜻 가운데서 완전하고 확신 있게 서기를 구하나니
13 그가 너희와 라오디게아에 있는 자들과 히에라볼리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 많이 수고하는 것을 내가 증언하노라
14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15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하고
16 이 편지를 너희에게서 읽은 후에 라오디게아인의 교회에서도 읽게 하고 또 라오디게아로부터 오는 편지를 너희도 읽으라
17 아킵보에게 이르기를 주 안에서 받은 직분을 삼가 이루라고 하라
18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내가 매인 것을 생각하라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Colossians 4: 12-18
12 그리스도 예수의 종인 너희에게서 온 에바브라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그가 항상 너희를 위하여 애써 기도하여 너희로 하나님의 모든 뜻 가운데서 완전하고 확신 있게 서기를 구하나니
13 그가 너희와 라오디게아에 있는 자들과 히에라볼리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 많이 수고하는 것을 내가 증언하노라
14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15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하고
16 이 편지를 너희에게서 읽은 후에 라오디게아인의 교회에서도 읽게 하고 또 라오디게아로부터 오는 편지를 너희도 읽으라
17 아킵보에게 이르기를 주 안에서 받은 직분을 삼가 이루라고 하라
18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내가 매인 것을 생각하라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
골로새서 4장/ Colossians 4: 12-18
12 그리스도 예수의 종인 너희에게서 온 에바브라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그가 항상 너희를 위하여 애써 기도하여 너희로 하나님의 모든 뜻 가운데서 완전하고 확신 있게 서기를 구하나니
12 Epaphras, who is one of you and a servant of Christ Jesus, sends greetings. He is always wrestling in prayer for you, that you may stand firm in all the will of God, mature and fully assured.
‘에바브라’는 바울의 대리자로서 골로새 교회의 설립자였습니다. 바울은 그를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소개합니다. 이 호칭은 바울 자신(롬 1:1)과 디모데 (빌 1:1)에게 사용했던 것으로 자신처럼 복음 사역을 위해 주께 순종하는 종이라고 소개한 것입니다.
에바브라는 고로새 교인들이 ‘서기를 구해’ 끊임없이 중보기도를 했습니다. ‘서기를’에 해당하는 헬라어 [스타데테]는 수동태로서 하나님께서 세우시는 것을 나타냅니다.
에바브라은 골로새 교인들이 두 가지 모습 가운데 서기를 기도했습니다.
(1) 하나님의 모든 뜻 가운데서 ‘완전하고’: 이는 골로새 교인들에게는 핵심적 문제였습니다. 골로새 교사들은 자신들의 철학을 통해 완전을 추구했기 때문에 에바브라는 성도들이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자’로 설게 되도록 기도했습니다.
(2) 하나님의 모든 뜻 가운데서 ‘확신 있게’: ‘확신있게’ 에 해당하는 헬라어 [페플레로포레메노이]는
‘확신하다’ 라는 의미와 (롬 4:21, 14:5), ‘채우다’ (딤후 4:5, 17) 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모든 뜻으로 채우는’ 으로 해석할 수있습니다.
13 그가 너희와 라오디게아에 있는 자들과 히에라볼리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 많이 수고하는 것을 내가 증언하노라
13 I vouch for him that he is working hard for you and for those at Laodicea and Hierapolis.
‘수고’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포논]으로 ‘전쟁터에서 싸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바브라는 세 교회를 복음 전도자로서, 골로새 교회의 거짓 교사의 가르침이 세 교회로 퍼지지 않도록 대항하여 싸운 것을 나타냅니다. ‘라오디게아 교회’는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중 책망받는 교회로 계시록에 나타납니다(계3:14-22).
14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14 Our dear friend Luke, the doctor, and Demas send greetings.
‘누가’는 2차 전도 여행때 바울과 함께 드로아와 빌립보에 있었고 3차에도 예루살렘에 동행했습니다. 누가는 이방인이었으나 바울의 투옥 기간 동안 바울의 주치의 역할을 했습니다.
‘데마’는 골로새 교회와 빌레몬에게 문안한 바울의 동역자 였으나 그 뒤, 바울이 다시 옥에 갇혔을 때 바울 곁을 떠나 사역을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가버린 자 입니다 (딤후 4:10). 그래서 ‘데마’는 이름만 언급되고 있습니다.
15 라오디게아에 있는 형제들과 눔바와 그 여자의 집에 있는 교회에 문안하고
15 Give my greetings to the brothers at Laodicea, and to Nympha and the church in her house.
‘눔바’의 집에 있는 교회는 가정교회로 골로새 교회 안에서 친교를 위해 모이는 작은 모임이었을 것입니다.
16 이 편지를 너희에게서 읽은 후에 라오디게아인의 교회에서도 읽게 하고 또 라오디게아로부터 오는 편지를 너희도 읽으라
16 After this letter has been read to you, see that it is also read in the church of the Laodiceans and that you in turn read the letter from Laodicea.
당시의 교회에서 사도의 서신을 읽는다는 것은 공적으로 크게 읽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울은 라오디게아 교회와 골로새 교회가 자신의 편지를 서로 교환해 볼 것을 권면합니다. 라오디게아로부터 오는 편지는 바울이 라오디게아로 보낸 편지로 이 편지는 분실된 것으로 보입니다.
17 아킵보에게 이르기를 주 안에서 받은 직분을 삼가 이루라고 하라
17 Tell Archippus: 'See to it that you complete the work you have received in the Lord.'
‘아킵보’는 빌레몬 가족의 일원으로 빌레몬과 압비아의 아들입니다. ‘직분’ [디아코니안]은 전통적 용어로 ‘설교사역’을 의미합니다. 이 직분은 주 안에서 받은 것으로 에바브라가 없을 때 아킵보가 사역자로 봉사했음을 말합니다.
18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내가 매인 것을 생각하라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18 I, Paul, write this greeting in my own hand. Remember my chains. Grace be with you.
바울은 친필로 문안 인사를 함으로 당시 사도의 이름을 빙자한 위조를 방지하고 본서의 권위를 입증하며 본서의 내용을 강조했습니다.
‘생각하라’ 의 헬라어 [므네모뉴에테]는 상대방을 위해 계속 기도를 요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삼하 14:11, 시62;6) 본문에서는 바울 자신을 위해 계속 기도해주기를 요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바울은 마지막으로 골로새 교인들이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온전히 서도록 기도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기독교 공동체를 유지 시키는 유일한 요소입니다.
'신약 > 골로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골로새서 4장: 7-11 (0) | 2025.11.01 |
|---|---|
| 골로새서 4장: 1-6 (0) | 2025.10.31 |
| 골로새서 3장: 18-25 (0) | 2025.10.30 |
| 골로새서 3장: 15-17 (0) | 2025.10.29 |
| 골로새서 3장: 11-14 (0) | 2025.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