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 전서 1장: 3-8
3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4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5 이는 너희가 그 안에서 모든 일 곧 모든 언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
6 그리스도의 증거가 너희 중에 견고하게 되어
7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
8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고하게 하시리라
1 Corinthians 1장: 3-8
3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4 I always thank God for you because of his grace given you in Christ Jesus.
5 For in him you have been enriched in every way-in all your speaking and in all your knowledge-
6 because our testimony about Christ was confirmed in you.
7 Therefore you do not lack any spiritual gift as you eagerly wait for our Lord Jesus Christ to be revealed.
8 He will keep you strong to the end, so that you will be blameless on the day of our Lord Jesus Christ.
----------------------------------------
고린도 전서 1장: 3-8
3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3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바울 당시 헬라 지역의 일반적 인사말은 삼인칭이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일인칭이나 이인칭을 사용하여 보다 친밀하게 표현했습니다. 바울이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로 표현하여 하나님은 창조주이시므로, 사람을 창조하시고 우리를 자녀로 삼아주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 를 본장에서 아홉번 반복합니다. 바울의 문체는 핵심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에게 전하는 복음의 핵심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 이심을 분명하게 밝힙니다. 오직 예수그리스도로 인하여 하늘의 은사, 은혜와 평강이 전해집니다.
‘평강’ [에이레네]는 히브리인의 일반 인사인 ‘샬롬’ (평화)에서 나온 말로 분쟁과 싸움이 없다는 소극적 의미보다는, 적극적 의미입니다. 축복이 있고 풍요로운 영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이 구원 받은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것이고 (고후 8:9, 엡 2:8, 9)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통해서 하나님과의 화해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4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내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4 I always thank God for you because of his grace given you in Christ Jesus.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이 도시의 문란한 현실 속에서 살다보니, 부족한 부분이 있었지만, 그래도 다른 시민들과는 분명히 다른 점이 있음에 대해 격려하고 칭찬합니다. 그래서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가르쳤던 교회들을 위해 정기적으로 중보의 기도를 드렸습니다 (엡 1:16, 빌 1:3). 그리고 하나님께서 은혜와 평강이라는 선물을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5 이는 너희가 그 안에서 모든 일 곧 모든 언변과 모든 지식에 풍족하므로
5 For in him you have been enriched in every way-in all your speaking and in all your knowledge-
‘언변’에 해당하는 헬라어 [로고]는 ‘교리, 진리’를 의미합니다.
‘지식’에 해당하는 헬라어 [그노세이]는 영지주의(Gnosticism)에서 주장하는 감추어진 신비한 지식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기본으로 한 구체적인 지식을 말합니다.
바울이 말하는 ‘지식’은 ‘나의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 (빌 3:8) 입니다.그리스도와 그 분의 십자가 수난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에 대해 알고 말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풍성한 축복입니다.
6 그리스도의 증거가 너희 중에 견고하게 되어
6 because our testimony about Christ was confirmed in you.
‘그리스도의 증거’는 바울이 4년전 고린도에 머물며 전했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거를 말합니다.
7 너희가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
7 Therefore you do not lack any spiritual gift as you eagerly wait for our Lord Jesus Christ to be revealed.
‘은사’는 신약성경에서 구원 (롬 5:15), 일반적인 하나님의 선물 (롬 11:29), 성령의 특별한 능력(12:4) 등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그리스도의 증거가 고린도 교회에 받아들여져서 나타난 열매를 의미합니다. 고린도 교인들에게 믿음, 지식 같은 내적인 은사와 기적행함, 병고침, 방언, 예언 같은 외적인 은사들이 풍성했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을 기다림이라’
‘나타나심’에 해당하는 헬라어 [아포칼립신]은 ‘뚜껑을 열다, 수건을 벗긴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종말론적인 용어입니다. 감추었던 사실이 드러난다는 의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참뜻은 현시점에서는 비밀에 속한 것이나, 종말에는 마침내 완전히 드러나게 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들의 간절한 기대는 주님의 종말에 관한 말씀 (마 24:30’ 34) 에 근거합니다. 초대 교회의 모든 성도들은 가능하다면, 자신들이 살아 있을 동안에 주님께서 재림하시기를 바랐습니다 (살 1:9,10, 요일 2:18, 계 22:20).
8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고하게 하시리라
8 He will keep you strong to the end, so that you will be blameless on the day of our Lord Jesus Christ.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은 ‘그리스도의 재림의 날’을 말한 것입니다.
‘책망할 것이 없는’은 아무도 비방할 수 없을 만큼 흠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흠이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보증하시기 때문입니다. 이런 자는 고소할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 (롬 8:33). 고린도 교인들에게 그리스도 재림의 날에 책망받을 것이 없는 자가 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고 있습니다.
'신약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장: 21-25 (0) | 2025.01.29 |
---|---|
고린도전서 1장: 17-20 (0) | 2025.01.28 |
고린도전서 1장 : 12-16 (0) | 2025.01.27 |
고린도전서 1장: 9-11 (0) | 2025.01.25 |
고린도 전서 1장: 1-2 (0) | 2025.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