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0장: 10-14
10 그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그들과 같이 원망하지 말라
11 그들에게 일어난 이런 일은 본보기가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를 깨우치기 위하여 기록되었느니라
12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
13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14 그런즉 내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1 Corinthians 10:10-14
10 And do not grumble, as some of them did-and were killed by the destroying angel.
11 These things happened to them as examples and were written down as warnings for us, on whom the fulfillment of the ages has come.
12 So, if you think you are standing firm, be careful that you don't fall!
13 No temptation has seized you except what is common to man. And God is faithful; he will not let you be tempted beyond what you can bear. But when you are tempted, he will also provide a way out so that you can stand up under it.
14 Therefore, my dear friends, flee from idolatry.
--------------------------------------------------------------
고린도전서 10장: 10-14
10 그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그들과 같이 원망하지 말라
10 And do not grumble, as some of them did-and were killed by the destroying angel.
이스라엘 백성의 네번째 잘못은 모세와 아론을 향한 원망이었습니다. 본절은 고라의 반역과 그를 따르는 일만 사천칠백명이 염병으로 멸망한 사건을 말합니다. (민 16: 41, 49)
‘멸망시키는 자’ 는 하나님이 심판을 수행하기 위해 온 멸망시키는 하나님의 ‘천사’를 말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다가 치명적인 염병(plague)으로 멸망을 받았습니다 (민 16:48). 바울은 이 염병을 출 12:23의 내용을 근거로 ‘멸망시키는 자’로 해석했습니다. 고린도 교인중에 바울을 반대하여 우상 축제에 참여한 무리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지도자들의 대해 원망과 불평을 하였는데 바울은 그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에게 일어났던 예를 들어서 경고합니다.
11 그들에게 일어난 이런 일은 본보기가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를 깨우치기 위하여 기록되었느니라
11 These things happened to them as examples and were written down as warnings for us, on whom the fulfillment of the ages has come.
‘말세’ 는 그리스도의 재림을 의미하고 ‘메시야 시대 자체’를 의미한다고도 볼수 있습니다 (Godet). 그러나 바울은 한 세월의 ‘끝’ [타 테레] 을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창조 이래의 모든 시대의 끝을 의미합니다(Lenski).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옴으로 유대 민족이 율법을 통한 제한적인 구원의 길 시대가 막을 내리고, 그리스도로 인한 구원의 시대가 열렸음을 의미합니다 (히 9:26).
12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
12 So, if you think you are standing firm, be careful that you don't fall!
‘선 줄로’ [헤스타나이]는 현재 서있는 모습을 표현한 말로, 신앙이 아무 흠없이 온전하다는 의미입니다. 고린도 교인들은 자신들의 복음에 대한 지식과 생활이 흠이 없다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넘어질까 조심하라’ 이스라엘 백성은 자신들은 선택된 민족이고 ‘만군의 주 여호와 하나님’께서 자신들과 함께 하시니 이방의 침략을 받지 않을 것이라도 장담했습니다 (겔 12:22).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방의 침공으로 멸망당했습니다. 이처럼 고린도 교인들중, 자신들이 이미 예수의 피로 깨끗해졌으니 우상 제사에 참석하고 그 제물을 먹어도 해가 없다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이런 이들에게, 바울은 이스라엘 백성 중 수많은 사람들이 광야에서 하나님의 형벌로 죽었던 사실을 다시 기억 시키고, 고린도 교인들이 바른 믿음의 자세를 갖도록 촉구합니다.
13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13 No temptation has seized you except what is common to man. And God is faithful; he will not let you be tempted beyond what you can bear. But when you are tempted, he will also provide a way out so that you can stand up under it.
‘시험’ 에 해당하는 헬라어 [페이라스모스] 은 종교적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고 의학적으로는 실험한다는 의미로 사용된 단어입니다. 신약에서는 ‘유혹’ (temptation)과 ‘시련’ (trial) 이라는 단어로 나뉘어서 사용됩니다.
‘유혹’ (temptation)은 사단이 하나님의 백성들을 죄에 빠지도록 합니다 (마 5:4, 10, 약 1:12, 벧전 4:12).
‘시련’ (trial) 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자녀들을 연단 시키기 위해서 허락하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 5:4, 10, 약 1:12, 벧전 4:12).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미쁘사’ [피스토스]는 ‘신실하다, 믿을 수있다’ 라는 의미입니다. 고린도 교인들이 가진 복음의 지식이라 그들이 자랑하는 경건생활로 모든 시험을 이길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하나님의 신실하심’ 으로만 그들의 안전이 보장됩니다.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본절에서는 ‘시험당함’이 유혹과 시련이 복합된 의미로 해석해야 됩니다.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됩이니’ (약 1:14) 하는 말씀처럼, 하나님의 자녀들이 자신의 욕심에 끌려 유혹 받고 시련당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런 시련을 통해서 그들을 연단하시고 훈계하십니다.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
하나님께서는 시험을 허락하실 때 피할 길도 함께 예비하신다는 의미로 하나님께서 시험을 허락하시는 주관자이심을 전제로 합니다 . 하나님은 우리에게 감당할 수 없는 시험은 허락하지 않으시고 , 직면한 시험을 견뎌낼 수 있는 힘을 공급해 주시는 신실한 분이십니다.
14 그런즉 내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14 Therefore, my dear friends, flee from idolatry.
바울은 지금까지 말한 사실들의 결론을 도출합니다. 그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본보기로 하여 고린도 교회의 현 상황, 우상숭배 축제 참여를 적용하여 경고합니다.
바울은 ‘ 내 사랑하는 자들아’ 하고 말하며 고린도교회를 향한 애정을 표현하고 급히 바른 태도로 향하라고 권면합니다.
‘우상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죄를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도망하여 멀리 있는 것입니다. 희생제사의 축제가 우상 숭배는 아니지만, 우상숭배의 경계선으로 가는 행위이니, 바로 우상숭배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니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것을 피하라고 권고합니다.
'신약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0장: 22-26 (0) | 2025.03.18 |
---|---|
고린도전서 10장: 15-21 (0) | 2025.03.17 |
고린도전서 10장 :5-9 (0) | 2025.03.14 |
고린도전서 10장:1-4 (0) | 2025.03.13 |
고린도전서 9장: 24-27 (0) | 2025.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