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디아서 3장: 13-16
13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14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 미치게 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 함이라
15 형제들아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도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16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한 사람을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Galatians 3: 13-16
13 Christ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by becoming a curse for us, for it is written: 'Cursed is everyone who is hung on a tree.'
14 He redeemed us in order that the blessing given to Abraham might come to the Gentiles through Christ Jesus, so that by faith we might receive the promise of the Spirit.
15 Brothers, let me take an example from everyday life. Just as no one can set aside or add to a human covenant that has been duly established, so it is in this case.
16 The promises were spoken to Abraham and to his seed. The Scripture does not say 'and to seeds,' meaning many people, but 'and to your seed,' meaning one person, who is Christ.
갈라디아서 3장: 13-16
13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13 Christ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by becoming a curse for us, for it is written: 'Cursed is everyone who is hung on a tree.'
‘속량하셨으니’ 의 헬라어 [엑세고라센]은 ‘값을 치르고 사다, 되돌려 사다’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본절에서는 율법의 노예가 된 우리를 그리스도께서 값을 치르고 사셨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도께서 치르신 대가는 십자가의 피였습니다. 아무 죄 없으신 그리스도의 죽음은 속전의 개념으로 해석됩니다 (출 21:30). 아들을 나무에 달리는 저주까지 받게 하신 것은 성부 하나님의 사랑 때문입니다 (사 53:6)
14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 미치게 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 함이라
14 He redeemed us in order that the blessing given to Abraham might come to the Gentiles through Christ Jesus, so that by faith we might receive the promise of the Spirit.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으로 성도를 구속한 목적은 두 가지입니다.
(1)아브라함에게 내린 복이 유대인으로 끝나지 않고 이방인에게 까지 가기를 원하십니다.
(2)믿는 성도들이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의 복은 믿음으로 인해 의롭다함을 받은 것이었습니다. 이 복이 신약의 성도들에게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9절). 성령의 약속은 예수님의 부활 이후에 성취됩니다 (요 14:16-118, 행 1:4). 이처럼 의롭다 함을 얻는 것과 성령을 선물로 얻는 것은 아브라함이 받은 복과 같은 성격의 하나님 약속입니다. 이방인에게 미치는 아브라함의 축복이 하나님의 약속이듯이 (8절)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의롭게 되고, 성령을 받게 되는 것도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눅 24:49)
15 형제들아 내가 사람의 예대로 말하노니 사람의 언약이라도 정한 후에는 아무도 폐하거나 더하거나 하지 못하느니라
15 Brothers, let me take an example from everyday life. Just as no one can set aside or add to a human covenant that has been duly established, so it is in this case.
‘언약’ 의 헬라어 [디아데케]는 주로 ‘유언이나 유언장’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70인역에서 몇번의 예외를 제외 하고 대부분 ‘언약이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바울을 언약, 약속의 견고성을 예로 들어서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언약의 불변성을 (16절) 설명합니다. 하나님의 언약은 사람과 맺은 언약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창세기 15장에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는 정황을 보면 명확히 구분됩니다. 보통, 고대 중동의 계약 당사자들은 칼로 쪼갠 짐승 사이를 지나며 이처럼, 죽음이 오더라도 약속을 이행 하겠다고 서로 간의 성실한 약속이행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그 쪼갠 짐승 사이를 지나가지 않았고, 하나님께서는 빛으로 그 쪼갠 짐승 사이를 지나가셨습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언약의 주권자이시고 기필코 당신이 하신 약속을 이루시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신 것입니다 (히 6:13-15). 사람의 언약도 지켜지거늘, 사람의 언약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나는 하나님 신실함을 표현하며, 하나님의 언약은 반드시, 절대적으로 성취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16 이 약속들은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말씀하신 것인데 여럿을 가리켜 그 자손들이라 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한 사람을 가리켜 네 자손이라 하셨으니 곧 그리스도라
16 The promises were spoken to Abraham and to his seed. The Scripture does not say 'and to seeds,' meaning many people, but 'and to your seed,' meaning one person, who is Christ.
‘자손’의 헬라어 [스페르마티]는 복수형인 [스페르마신] 과 함께 집합적 의미로 보통 사용됩니다. 바울이[스페르마티]를 집합적 의미로 사용한 예도 있습니다. (롬 4:16-18, 9:6-8). 그러나, 바울은 본절에서는, ‘오직 하나’ 라는 강조 문구를 더하여 단수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함으로 궁극적으로 메시야의 축복이 한 사람을 통해 이루어질 것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곧 그리스도라’ 에서, 바울은 하나님과 아브라함이 맺은 언약의 중심이 그리스도 임을 명확히 밝힙니다. 아브라함에게 제시된 언약은 당대의 육적인 자손들과 율법에 의해 성취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마침내 성취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의 복이 이방인에게 미치게 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성령의 약속을 받게 하려 함’ (11절)은 예수그리스도에 의해 마침내 성취되었습니다.
'신약 > 갈라디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라디아서 3장: 17-19 (0) | 2025.07.22 |
---|---|
갈라디아서 3장: 8-12 (0) | 2025.07.19 |
갈라디아서 3장: 5-7 (0) | 2025.07.18 |
갈라디아서 3장: 1-4 (0) | 2025.07.17 |
갈라디아서 2장 :20-21 (0) | 2025.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