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디아서 1장: 1-5
1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도 된 바울은
2 함께 있는 모든 형제와 더불어 갈라디아 여러 교회들에게
3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4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뜻을 따라 이 악한 세대에서 우리를 건지시려고 우리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자기 몸을 주셨으니
5 영광이 그에게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Galatians 1: 1-5
1 Paul, an apostle-sent not from men nor by man, but by Jesus Christ and God the Father, who raised him from the dead-
2 and all the brothers with me, To the churches in Galatia:
3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4 who gave himself for our sins to rescue us from the present evil age, according to the will of our God and Father,
5 to whom be glory for ever and ever. Amen.
------------------------------------------------
갈라디아서 1장: 1-5
1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도 된 바울은
1 Paul, an apostle-sent not from men nor by man, but by Jesus Christ and God the Father, who raised him from the dead-
바울은 자신의 사도권이 사람에게서 온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바울이 열두제자가 아니었다는 이유로 바울의 사도권을 부인하믐 바들이 있었기에 편지의 서두에 이를 기록합니다. 고린도인들을 미혹하던 거짓 교사들이 갈라디아 교인들도 미혹했습니다. 바울은 예수님 생전에 예수님과 동행 하거나 그 사역을 목격하거나, 맛디아처럼 공식적으로 선출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목격했고 이방인의 사도로서 소명을 받았기에 사도의 자격이 부족하지 않았습니다. (행 9:1-17).
바울은 자신의 사도권이 하나님으로부터 유래되었음을 드러냅니다. 예수그리스도와 하나님을 함께 언급하고 예수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동등한 권위를 가지신 분이심을 알립니다.
하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그리스도를 살리셨고, 자신의 사도직 기원은 부활하신 주님에게 있음을 드러냅니다.주의 부활은 초대 교회 성도들의 신앙의 근거였고 ‘다메섹의 경험’을 통해 회심한 바울 에게도 신앙의 근거였습니다.
사도 [아포스톨로스]는 예수님의 열두제자 외 다른 사람들에게도 사도라는 칭호로 사용되었습니다. 원래 이 단어는 헬라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에게는 개인이나 단체의 권익을 옹호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던 것이었으나 예수님이 오신 이후 부터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는 자들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초대 교회는 사도가 되기 위한 두가지 조건을 제시합니다 (행 1:21-26).
그리스도의 공생애 사역과 부활하신 주를 목격하고 그리스도에 의해 복음 사역자로 택함 받은 자가 사도 입니다.
2 함께 있는 모든 형제와 더불어 갈라디아 여러 교회들에게
2 and all the brothers with me, To the churches in Galatia:
‘형제들’은 바울이 본 편지를 수리아 안디옥에서 남쪽 갈라디아에 보낸 것이라면, 안디옥 교회 지도자들을 말하거나, 고린도에서 불쪽 갈라디아에 보낸 것이라면, 고린도에 선교 초기에 믿기 시작한 사람들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갈라디아의 여러 교회’들에 대해 칭찬과 존경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이는 그가 1차 전도 여행때 전도한 이 교회들이 바울의 복음을 이미 받았음에도 거짓 선지자에 미혹되어 다른 길로 갔기에에 책망한 것입니다.
3 우리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하노라
3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바울은 하나님을 ‘아버지’ [파트로스]라고 부르고, 예수 그리스도는 ‘주’ [퀴리오스] 라고 부릅니다.
‘주’에 해당하는 [퀴리오스]는 히브리어의 [아도나이]와 동일한 의미입니다. 이는 70인 역에서는 [야웨]라고 읽혔습니다. 신약에서 예수님 호칭 중 하나인 ‘주’ 의 헬라어 [퀴리오스]는 구약의 히브리어 [야웨]가 예수 그리스도와 동등하심을 보여줍니다.
‘은혜’의 헬라어 [카리스]는 죄로 인해 더러워진 인간에게 자유와 용서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계속적인 선물입니다.
‘평강’의 헬라어 [에이레네]는 히브리어 [샬롬]과 동일 합니다. 평강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멀어졌던던 죄인이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죄 사함을 받고, 하나님과 죄인 사이에 이루어진 평화를 의미합니다.
4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곧 우리 아버지의 뜻을 따라 이 악한 세대에서 우리를 건지시려고 우리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자기 몸을 주셨으니
4 who gave himself for our sins to rescue us from the present evil age, according to the will of our God and Father,
‘세대’ [아이온]의 시간 개념은 현재적인 시점과 다가오는 시점을 포함한 것입니다.
본절에서의 ‘악한 세대’는 ‘이 세대’ 입니다. 이들은 ‘다가오는 세대’, 즉 영원한 축복의 세대와 대조됩니다.
유대인들은 ‘메시아 오심’을 기준으로 이전 시대를 ‘이 세대’ [하올람 하제]라고 칭했고 메시야가 도래한 이후의 시대를 ‘올 세대’ [하올람 합바]라고 했습니다. 세데의 개념은 구약에서 온것이고, 바울은 이를 바탕으로 ‘ 이 세대’를 악한 세대라고 말합니다.
갈라디아 교인들이 그리스도에 대한 오해를 하기에 바울이 이를 고쳐주고자 ‘자기 몸을 주셨으니’라는 문장을 사용합니다. 이는 다른 서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입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 외에 다른 것을 통해서는 구원에 이르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유대주의자들이 율법을 섬기고자, 예수님의 죽음을 무시하는 행동을 하고, 이를 전파하는 것이 하나님을 배반하는 일임을 알리고 경고합니다.
5 영광이 그에게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5 to whom be glory for ever and ever. Amen.
바울은 우리 죄를 위해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께 영광을 돌립니다. (롬 1:25)
헬라어 ‘아멘’은 히브리어 [아멘]에서 유래합니다. 바울은 아멘으로,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하나님의 영원하심을 강조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