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9장:1-5

by 갈렙과 함께 2025. 3. 7.

고린도전서 9장:1-5

1 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

2 다른 사람들에게는 내가 사도가 아닐지라도 너희에게는 사도이니 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친 것이 너희라

3 나를 비판하는 자들에게 변명할 것이 이것이니

4 우리가 먹고 마실 권리가 없겠느냐

5 우리가 다른 사도들과 주의 형제들과 게바와 같이 믿음의 자매 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리가 없겠느냐

 

1 Corinthians 9:1-5

1 Am I not free? Am I not an apostle? Have I not seen Jesus our Lord? Are you not the result of my work in the Lord?

2 Even though I may not be an apostle to others, surely I am to you! For you are the seal of my apostleship in the Lord.

3 This is my defense to those who sit in judgment on me.

4 Don't we have the right to food and drink?

5 Don't we have the right to take a believing wife along with us, as do the other apostles and the Lord's brothers and Cephas?

 

-------------------------------------------------------

고린도전서 9장:1-5

1 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

1 Am I not free? Am I not an apostle? Have I not seen Jesus our Lord? Are you not the result of my work in the Lord?

 

 ‘내가 자유인이 아니냐’  바울이 말하는 ‘자유’는 믿음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영적인 자유를 말합니다. 바울은 유대인이나 율법주의에서 벗어난 사람이었기에 그리스도 안에서 믿음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자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8:13에서 고백한 대로 그는 형제를 위해서 그가 누릴 수 있는 자유를 포기했습니다. 

 

 ‘사도가 아니냐’ 라는 말은 사도인 바울이 사도로서의 자기 권리를 마음대로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의 사도성을 주장하는 근거로 두가지 사실을 제시했습니다.  자신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보았다는 것과 고린도인들이 자신의 전도로 인해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에서 ‘못하였느냐에 해당하는 헬라어 [우키]는 강한 부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는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목격한 일에 대해 강조해 말한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이 고린도 교회로 설립했고 자신이 뿌린 씨앗의 열매가 고린도 교인들이기에 자신의 사도로서의 근거는 명백하다고 주장합니다.

 

2 다른 사람들에게는 내가 사도가 아닐지라도 너희에게는 사도이니 나의 사도 됨을 주 안에서 인친 것이 너희라

2 Even though I may not be an apostle to others, surely I am to you! For you are the seal of my apostleship in the Lord.

 

 바울의 사도권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이 있지만, 고린도 교인들의 바울의 사도권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고린도 교인들은 바울로 인해 그리스도를 영접했고 그들이 믿음을 소유하게 되었다는 것은 바울 사도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분명한 증거였습니다. 사람의 회개는 성령의 역사입니다. 바울의 복음 전파로 인해 교회가 생겼으니 바울이 하나님의 사도임을 증거하는 것입니다,

 

3 나를 비판하는 자들에게 변명할 것이 이것이니

3 This is my defense to those who sit in judgment on me.

 

 바울은 자신을 반대하는 자들이 자신의 사도권에 대해 비판 한다면, 자신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목격하였고, 이방인 고린도 사람을 회심시켰으니 이것이 사도됨의 증거가 아니냐고 답면합니다.

 

4 우리가 먹고 마실 권리가 없겠느냐

4 Don't we have the right to food and drink?

 

바울은 바나바와 함께 자비량 선교를 하였습니다. 실라와 디모데도 함께 했고 그들은 고린도 교회를 위해 바울과 협력하고 바울의 삶의 방식을 따랐습니다. (Godet).

 먹고 마실 권리가 없겠느냐? 권리 [엑수시안, right] 는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로부터 생계에 필요한 물질적 원조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고전 9:9-11)그러나 바울은 그런 권리를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5 우리가 다른 사도들과 주의 형제들과 게바와 같이 믿음의 자매 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리가 없겠느냐

5 Don't we have the right to take a believing wife along with us, as do the other apostles and the Lord's brothers and Cephas?

 

‘다른 사도들’에는 사도행전에 언급된 예수의 열두제자와 한두 사람이 더 포함되어있습니다 (행 14:4,14). 주의 형제들에 해당된 이가 누구인지에 대한 여러 견해가 있으나, 요셉과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아들들로는 야고보, 요셉, 시몬, 유다 이 네 사람들이 있습니다.(마 12:46, 13:55, 행 1:14, 갈 1:19).

 게바는 베드로이며, 그는 탁월한 사도이므로 고린도 교인들에게 본보기가 되었기에 따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막 1:30)

 당시 사도들이 아내를 동반하여 선교여행에 도움을 받고 있었습니다. 2세기말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나 4세기 로마교회의 부제였던 암브로시에스터에 의하면 요한과 바울을 제외하고 모든 사도들에게 아내가 있었다고 합니다. 결혼한 사도들은 자신 만 아니라 딸린 식솔 까지도 교회로부터 경제적인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었습니다. 바울은 자신도 다른 사도들 처럼 그런 권리가 있었다고 말합니다.

 

'신약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9장: 12-17  (0) 2025.03.10
고린도전서 9장 :6-11  (0) 2025.03.08
고린도전서 8장: 7-13  (0) 2025.03.06
고린도전서 8장: 1-6  (0) 2025.03.05
고린도전서 7장: 34-40  (0) 2025.0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