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8장: 1-6
1우상의 제물에 대하여는 우리가 다 지식이 있는 줄을 아나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2 만일 누구든지 무엇을 아는 줄로 생각하면 아직도 마땅히 알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
3 또 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면 그 사람은 하나님도 알아 주시느니라
4 그러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에 대하여는 우리가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또한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줄 아노라
5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신이라 불리는 자가 있어 많은 신과 많은 주가 있으나
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여 있고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느니라
1 Corinthians 7 : 1-6
1 Now about food sacrificed to idols: We know that we all possess knowledge. Knowledge puffs up, but love builds up.
2 The man who thinks he knows something does not yet know as he ought to know.
3 But the man who loves God is known by God.
4 So then, about eating food sacrificed to idols: We know that an idol is nothing at all in the world and that there is no God but one.
5 For even if there are so-called gods, whether in heaven or on earth (as indeed there are many 'gods' and many 'lords'),
6 yet for us there is but one God, the Father, from whom all things came and for whom we live; and there is but one Lord, Jesus Christ, through whom all things came and through whom we live.
---------------------------------------------------------------------
고린도전서 8장: 1-6
1우상의 제물에 대하여는 우리가 다 지식이 있는 줄을 아나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1 Now about food sacrificed to idols: We know that we all possess knowledge. Knowledge puffs up, but love builds up.
바울 당시 고대 도시에서는 종교적으로 사용된 음식물을 사제들이 사용하고 남은 것을 시장에서 판매했습니다. 제물로 사용되지 않은 것도 있었기에 교인들은 거리낌없이 시장에서 고기를 사먹었습니다. 그러나 제물이었는지, 순수한 음식인지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고린도 교회에서 문제가 된 부분은 우상의 제물일 수도 있으니, 유대교에서 개종한 그리스도인들은 이런 오염된 음식을 먹지 말라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일부는 영지주의의 영향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는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도살이나 우상의 제물도 먹을 때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울은 이 두 주장으로 인한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지식의 편견과 교만에 빠져 분쟁을 유발 시키는 그들의 행위를 지적하고, 성숙한 인격으로 서로 사랑하라고 권고했습니다.그들의 문제는 결국 사랑이 없는 지식 때문에 생긴 것입니다. (9-13)
2 만일 누구든지 무엇을 아는 줄로 생각하면 아직도 마땅히 알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요
2 The man who thinks he knows something does not yet know as he ought to know.
바울은 사랑과 지식을 비교하고, 지식의 불완전함을 증명합니다. ‘지식’ [그노시스]는 ‘하나님에 관하여 아는 것’ 이지만,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계명을 지키는 것과 직결됩니다. (요일 2:4)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맺는다는 것과 동일합니다 (호 6:3).
고린도의 지식인들은 단편적인 지식 만을 가지고 오류에 빠졌습니다. 그들은 지식을 소유했으나, 그 지식을 당면한 문제에 적용할 수있는 ‘마땅한 지식’ , 덕을 세우는 사랑을 소유하지 못했습니다.
3 또 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면 그 사람은 하나님도 알아 주시느니라
3 But the man who loves God is known by God.
‘사랑하면’ [에이 아가파]라는 표현이 하나님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조건문으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이 주도권을 가지고 그의 백성을 아신다는 사실입니다. (딤후 2:19).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인정하실 때 그 백성의 삶에는 사랑이 나타날 것이며 그 사랑 안에서 하나님은 증거 될 것입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을, 학습의 과정을 통해서 아는 것에 끝나지 않고,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인격적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사랑 안에 거하지 아니하는 모든 외형적인 아름다움은 그것이 고상한 지식일지라도 무가치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Calvin)
4 그러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에 대하여는 우리가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또한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줄 아노라
4 So then, about eating food sacrificed to idols: We know that an idol is nothing at all in the world and that there is no God but one.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바울은 우상의 실체를 단호하게 규정합니다. 우상이라는 것은 인격적 실체가 아니므로 아무 능력도 없고 실제적으로도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합니다. 바울은 ‘이방인의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 (10:20) 이라고 규정하고 우상의 배후에는 귀신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그럼에도 바울은 본절에서 우상의 존재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합니다. 우상 그 자체는 허상이고 인간이 만들어낸 허상에 지내지 않는다고 강조합니다. 바울은 (1)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 (2) 참된 신앙의 대상은 하나님 한 분 이시라는 사실을 가르쳐줍니다 (사 41:24, 렘 10:14).
5 비록 하늘에나 땅에나 신이라 불리는 자가 있어 많은 신과 많은 주가 있으나
5 For even if there are so-called gods, whether in heaven or on earth (as indeed there are many 'gods' and many 'lords'),
본절의 ‘신’은 당시 그리이스 신화에 나타나는 이방신을 말합니다. ‘주’ [퀴리오스]는 당시의 여러 종교들이 신앙의 대상에 대해 사용하던 일반적인 용어 입니다 (Morris). ‘많은 신’과 ‘많은 주’는 의미상 큰 차이가 없습니다. 많은 우상이 이방인의 경배 대상이 된것을 풍자적으로 비유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그들이 섬기던 이방신들이 실재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 그를 위하여 있고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 말미암아 있느니라
6 yet for us there is but one God, the Father, from whom all things came and for whom we live; and there is but one Lord, Jesus Christ, through whom all things came and through whom we live.
하나님은 유일하신 신이며 우리의 기원은 그 분이십니다. 하나님의 창조자로서의 속성과 유일하심을 강조한 것은 이반의 신들과 근본적으로 다름을 보여줍니다. 하나님께대해서 ‘아버지’라는 표현을 쓴 것은 세상에 대한 하나님의 절대적 통치권과 예수그리스도와 성도들 간의 끊을 수 없는 사랑의 관계와 하나님의 인격적인 사랑을 나타냅니다. 우리들 뿐 아니라 ‘모든 것’의 기원과 존재 목적과 최종적인 귀결과 중보적 사역이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있음을 명백히 하는 표현입니다. 피조물인 이방의 우상과 하나님은 전혀 다른 존재이십니다.
'신약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9장:1-5 (0) | 2025.03.07 |
---|---|
고린도전서 8장: 7-13 (0) | 2025.03.06 |
고린도전서 7장: 34-40 (0) | 2025.03.04 |
고린도전서 7장: 25-33 (0) | 2025.03.03 |
고린도전서 7장: 17-24 (0) | 2025.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