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약/갈라디아서

갈라디아서 4장: 27-31

by 갈렙과 함께 2025. 7. 31.

갈라디아서 4장: 27-31

27 기록된 바 잉태하지 못한 자여 즐거워하라 산고를 모르는 자여 소리 질러 외치라 이는 홀로 사는 자의 자녀가 남편 있는 자의 자녀보다 많음이라 하였으니

28 형제들아 너희는 이삭과 같이 약속의 자녀라

29 그러나 그 때에 육체를 따라 난 자가 성령을 따라 난 자를 박해한 것 같이 이제도 그러하도다

30 그러나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여종과 그 아들을 내쫓으라 여종의 아들이 자유 있는 여자의 아들과 더불어 유업을 얻지 못하리라 하였느니라

31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여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 있는 여자의 자녀니라

 

Galatians 4: 27-31

27 For it is written: 'Be glad, O barren woman, who bears no children; break forth and cry aloud, you who have no labor pains; because more are the children of the desolate woman than of her who has a husband.'

28 Now you, brothers, like Isaac, are children of promise.

29 At that time the son born in the ordinary way persecuted the son b 0 But what does the Scripture say? "Get rid of the slave woman and her son, for the slave woman's son will never share in the inheritance with the free woman's son."

31 Therefore, brothers, we are not children of the slave woman, but of the free woman.

 

----------------------------------------------------

갈라디아서 4장: 27-31

27 기록된 바 잉태하지 못한 자여 즐거워하라 산고를 모르는 자여 소리 질러 외치라 이는 홀로 사는 자의 자녀가 남편 있는 자의 자녀보다 많음이라 하였으니

27 For it is written: 'Be glad, O barren woman, who bears no children; break forth and cry aloud, you who have no labor pains; because more are the children of the desolate woman than of her who has a husband.'

 

본절은 이사야 54:1 말씀을 인용한 것입니다. 이사야는 이 구절에서 그리스도로 인한 화해를 선포하고, 영적 평화의 상태가 도래할 것을 묘사했습니다. ‘많은 주의 종’들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과 평화가 이루어질 것을 예언했습니다. 바울은 이를 인용하여 새로운 섭리에 따라, 많은 하나님의 자녀들이 태어날 것이라는 것과 믿음의 자녀들이 핍박자들의 고난을 물리치고 믿음의 자녀들이 되고 궁극적으로 승리한다는 것을 증거합니다.

 

‘홀로 사는 자’의 헬라어 [에레무] 는 ‘과부된 자’ 라는 의미이고, 남편을 잃은 한 과부의 고독하고 불행한 상태를 말합니다. 본 절은 이사야서의 역사적 사건을 비유한 것으로 바벨론에 포로된 유다를 가리킨 말입니다. 

이를 인용하여, 90세가 넘어서 아기를 절대 가질수 없던 사라에게 주어졌던 약속이 사실로 성취되어 이삭을 얻게 된것을 서술한 것입니다. 사라에게 주어진 약속은 직접 자손을 얻는 것이었으나, 이것을 믿음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그리스도인에게 대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본절은 하나님께서 약속의 자손의 어머니인 사라 (26절)를 통해서, 복음을 주시고, 그 복음으로 교회가 크게 확장한다는 계시의 역사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교회의 확장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성취입니다 (롬 14:11, 비리 2:9-11). 이 말이 반드시 이방인에게만 해당된 상징은 아닙니다. 자유하는 여인이 낳은 아들이란,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구분되지 않으며, 믿음으로 태어난 모든 양자들이 포함됩니다.

 

28 형제들아 너희는 이삭과 같이 약속의 자녀라

28 Now you, brothers, like Isaac, are children of promise.

 

모든 그리스도인은 이 약속에 적용됩니다. 약속은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주권적인 작정과 섭리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신 선물입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은 자의적인 행위로 되지 않고, 부르시는 이의 뜻을 따라 이루어집니다. 이것이 육체의 족보를 따르지 않는 다 (롬 9:8) 라는 말에 해당됩니다.

‘위에 있는 예루살렘’의 자녀들은 믿음을 통하여 태어나고, 성령의 세례를 통하여 새롭게 거듭나는 자들입니다.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을 ‘자유하는 여자’와 ‘이삭’과 ‘약속의 자녀’들과 동일 선상으로 취급합니다.

그리스도의 구속사에 포함될 모든 자들은 ‘약속의 자녀’입니다.

 

 29 그러나 그 때에 육체를 따라 난 자가 성령을 따라 난 자를 박해한 것 같이 이제도 그러하도다

29 At that time the son born in the ordinary way persecuted the son born by the power of the Spirit. It is the same now.

 

‘핍박하다’ 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에디오켄] 인데, 이는 ‘핍박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오코]의 미완료 능동태형입니다. 이 단어를 사용한 것은, 이스마엘이 이삭을 괴롭힌 것이 지속된 사실이었듯이, 이를 현재 상황 그대로 적용하여, 그리스도인들이 당하는 핍박도 현재 그대로 적용되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사용했습니다. 

이스마엘이 이삭을 ‘희롱했다’ (창 21:9)는 사실을 표현한 [차하크]는 그 희롱이 단순한 놀림에 그치지 않은 것임을 나타냅니다. 오늘날에도 하나님의 약속의 자녀에 대한 핍박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바울은 이런 일이 오늘도 계속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라가 하갈을 내쫓았듯이 거짓된 이복 형제들, 율법주의자들을 멀리하라고 권고합니다. 

 

30 그러나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여종과 그 아들을 내쫓으라 여종의 아들이 자유 있는 여자의 아들과 더불어 유업을 얻지 못하리라 하였느니라

30 But what does the Scripture say? "Get rid of the slave woman and her son, for the slave woman's son will never share in the inheritance with the free woman's son."

 

유업을 이을 자는 오직 자유한 여자의 아들만 가능합니다. 율법과 믿음은 공존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믿음을 선택해야만 됩니다. 유대주의자들은 유업을 이을 자가 유대인 뿐이라고 믿었기에 이방인들을 핍박했습니다. 이제 바울은 그들의 입장이 반전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유업은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을 믿는 자에게서만 가능합니다. 죄에서 해방되어어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 된 자들에게만 주어지는 특권이 유업입니다. 율법의 정죄 아래 계속 머물러 있는 유대주의자들은 육신의 신분에 매여 죄의 종으로 머물게 됩니다 (롬 3:23, 6:16, 7:14). 그 결과로 아버지의 유업을 이을 수 없게 됩니다.

 

31 그런즉 형제들아 우리는 여종의 자녀가 아니요 자유 있는 여자의 자녀니라

31 Therefore, brothers, we are not children of the slave woman, but of the free woman.

 

바울은 하갈과 사라에 대한 사례를 비유하여 율법과 믿음에 대해서 결론 내립니다. 이는 3:6-9절에서 질문한 ‘누가 진정한 아브라함의 자녀이며 상속인 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입니다. 

바울은 지금까지 사용한 ‘너희, 저들’ 이라는 명칭 대신에 ‘우리’ [에스멘] 이라는 1인칭 동사를 사용합니다.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녀가 된 모든 이들은 약속의 자녀, 유업을 이을 자라는것을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확신시키기 위해 ‘우리’ [에스멘]라는 1인칭을 사용했습니다.



'신약 > 갈라디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라디아서 4장: 18-26  (0) 2025.07.30
갈라디아서 4장: 12-17  (0) 2025.07.29
갈라디아서 4장: 7-11  (0) 2025.07.28
갈라디아서 4장: 4-6  (0) 2025.07.26
갈라디아서 3장 : 26-29  (0) 2025.07.25

댓글